[말씀묵상] 대림 제3주일·자선 주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홍보부 댓글 0건 조회Hit 122회 작성일Date 24-12-17 21:51본문
세례자 요한이 세례 운동을 벌이던 당시에, 요르단강에는 세례를 주던 사람이 많았다고 합니다. 대개는 물로 씻는 세례를 통해, 과거의 잘못을 씻도록 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사람들이 원할 때 필요한 만큼 반복해서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일종의 정결례였던 셈이지요. 하지만 요한의 세례는 달랐습니다. 요한은 ‘죄’를 씻는 것보다,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완전히 ‘새로운 삶’을 요구했지요. 요한은 세례를 청하는 사람에게 결단을 요구했습니다. 그래서 세례자 요한은 찾아온 사람에게 일생에 단 한 번 세례를 베풀었다고 합니다.
요한이 사람들에게 요구한, 새로운 삶은 어떤 것이었을까요. 요한은 군중들에게 말했습니다. “옷을 두 벌 가진 사람은 못 가진 이에게 나누어 주어라. 먹을 것을 가진 사람도 그렇게 하여라.”(루카 3,11) 요한은 세리들에게 말했습니다. “정해진 것보다 더 요구하지 마라.”(3,13) 요한은 군사들에게 말했습니다. “아무도 강탈하거나 갈취하지 말고 너희 봉급으로 만족하여라.”(3,14) 오늘의 사람들에게 너무나도 당연해 보이는 이 가르침은, 당시에는 새로운 것이었습니다. 요한은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면서 ‘율법’을 잘 지켜야 한다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성전에다 십일조나 제물을 충실히 바치라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말하자면, 요한의 가르침은 그 시대 유다교 지도자들의 것과는 완전히 달랐지요. 그래서 어제의 사람들이 요한의 가르침을 들으면서 큰 기대를 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요한의 가르침이 전통과 영 동떨어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율법과 성전은 이스라엘 신앙을 이끌던 두 기둥이었습니다. 그들에게 하느님은 자신들을 돌보아주시고 지켜주시는 분이었습니다. 율법과 성전의 제물봉헌은, 그런 하느님을 기억하게 하고, 그런 하느님을 닮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율법과 성전의 제물봉헌은 사람들을 나눔의 삶에로 이끌며, 하느님의 일을 하도록 하는 지침이었습니다.
율법과 예물봉헌을 두고 요한의 가르침을 되새깁니다.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있다면 나누어라.’ ‘자신에게 주어진 몫보다 더 탐하지 마라.’ 요한은 모두에게 ‘새로운 삶’을 요구했습니다만, 요한의 가르침은 이스라엘 전통이 간직해온 정신을 당대에 어울리는 모습으로 각색했습니다. 역설적입니다. 가장 전통적일 때, 가장 혁신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요한의 가르침에 큰 기대를 품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이 하나 있습니다. 요한은 모든 사람에게 획일적으로 다가가지 않았습니다. 요한은 모두에게 ‘새로운 삶’을 요구하되, 각자의 삶에 맞는 구체적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군중들에게는 ‘생존’과 직결되는 무엇을 두고, 적극적으로 나누라고 말합니다. 그는 옷 한 벌을 두고, 작은 빵조각을 두고 고군분투해온 사람들이, 살아남으려고 꼭 쥐고 있던 것들을 놓도록 이끌었습니다. 이웃의 어려움을 보라고 시선을 돌립니다. 세리들에게는 ‘정해진 것만’을 요구하라 일렀습니다. 당시의 세리는 지금의 세무서 공무원같은 이들이 아니었습니다. 일종의 세금징수업자였는데요. 로마제국에게 세금징수권을 돈을 주고 산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징세권을 얻기 위해 세금보다 많은 돈을 제국에 바쳤기 때문에, 그들은 제국이 정한 세금보다 더 많은 것들을 갈취하곤 했습니다.
군인들에게는 ‘봉급’만으로 만족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고대의 기록(요세푸스 「유대전쟁사」)을 찾아보면, 당시의 군인들이 자주 범했던 잘못들이 언급됩니다. 도둑질, 강도질, 약탈 등, 그들은 사람들에게 해악을 입히고 이익을 취하는 일이 잦았습니다. 그는 직업을 바꾸라고 하지는 않았습니다. 오직 ‘청렴’을 요구했지요.
요한은 광야에 살면서도, 사람들의 삶을 잘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의 생존을 위한 분투와, 식민지에서 벌어지는 폭력과 사람들의 아픔을 잘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사람들이 각자의 처지에서, 각자의 상식으로 실천할 수 있는 것을 요구하면서, 새로운 삶으로 이끌었습니다.
인간의 역사는 짓밟고, 빼앗고, 죽이는 이야기로 가득하고, 우리 역시 그 굴레 안에 태어나 어느샌가 휩쓸려 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대림 시기를 지내며, 2000년 전 요한의 외침을 되새기는 이유는 거기에 있겠지요. 요한의 가르침은 가장 전통적이기 때문에 가장 혁신적이었습니다. 사람들의 삶을 잘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삶의 자리에 어울리는 상식적인 가르침을 줄 수 있었습니다.
요한이 제시한 새로운 삶의 이면에는, 그가 그리고 있는 하느님의 모습도 있습니다. “손에 키를 드시고 당신의 타작마당을 깨끗이 치우시어, 알곡은 당신의 곳간에 모아들이시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워 버리실 것이다.”(3,17) 그의 가르침은 새로운 것이었습니다만, 그가 그려내는 하느님은 여전히 엄한 심판자였습니다. 요한의 말과 태도에는 양면성이 있습니다. 새로운 삶의 이유가 하느님의 엄한 심판이어서는 안 됩니다. 신앙은 지옥이 두려워 천국으로 도망가는 것이어서는 안 됩니다.
‘그리움’과 ‘기다림’의 대림 시기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그리워하고 또 기다리는 예수님도 새로운 삶으로 초대하고 계십니다. 그분은 하느님을 엄한 심판자가 아니라 자비로운 아버지로 그려내셨습니다. 신앙은 두려움에 떨면서 지키거나 바치는 데 있지 않습니다. 신앙은 기쁘게 베풀고 나누는 삶으로 실천됩니다. 그렇게 하느님의 자비를 살며, 자비로운 하느님을 닮아가기를 바라 마지 않습니다.
글 _ 전형천 미카엘 신부(대건중학교 교목실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